KSI 모델 개발
국내 최초로 ISO 26000을 기반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는 "사회적 책임 이행수준 측정 모델" 입니다.
ISO 26000 국제 및 국내 간사기관인 KSA(한국표준협회)와 KDI(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의 정권 교수가 함께 참여하여 개발하였습니다.
ISO 26000과 함께하는 KSA
- 국제 표준화 활동 및 협력 : ISO 26000 국제 및 국내 간사기관인 KSA에서는 ISO 26000 신규이슈들에 대한 연구활동을 국제기관과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 ISO 26000 대응 교육 :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글로벌 표준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 가능경영 및 사회책임 경영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 ISO 26000 이행수준 진단 및 대응전략 수립 : 각 조직의 사회적 책임 이행수준을 진단하고, 경영전략, 규모 및 요구사항에 맞추어 ISO 26000에 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의 방안을 도출합니다.
정권 교수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에서 Marketing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와 KDI국제정책대학원 등에서 교수 생활을 역임하였습니다. 소비자 조사에 있어서 국내뿐 아니라 다수의 해외 선진 기업 컨설팅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KSI 모델 설명
KSI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트렌드에 대해 얼마나 전략적으로 대응하는지 여부와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기업 경영활동의 영향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관리·개선하는지 여부를 분야별 전문가와 기업 이해관계자가 직접 조사하는 모델입니다.
지속가능성 트렌드는 지속가능경영의 해외 전문가 및 전문기관1)의 트렌드 리스트를 바탕으로 한국표준협회가 외부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국내에 적합한 트렌드를 선정하였습니다.
또한 지속가능성 영향의 항목들은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 ISO 260002)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습니다.
- 1) Porter and Kramer(2006)의 diamond framework for social dimensions of the company's competitive context, William R.Blackburn(2007)의 Summary of Sustainability Trends, SAM Group(2008)의 Sustainability trends
- 2) ISO 26000 7대 핵심주제 :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운영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
KSI 모델 측정 요인 및 측정 항목
조직 거버넌스 |
---|
이사회의 책임성 강화 기업 경영의 투명성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참여 |
인권 |
---|
차별과 취약그룹 보호 시민의 정치적 권리 보장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보장 근로에서의 기본원칙과 권리보장 |
노동관행 |
---|
공정한 고용 및 고용관계보장 근로조건의 질 향상 사회적 보호 책임 사회적 대화 보장 보건과 안전 보장 인적개발과 교육훈련 기회제공 |
환경 |
---|
환경오염 방지 지속가능한 자원이용 기후변화 완화노력 환경보호 및 자연서식지 복원 노력 |
공공운영관행 |
---|
부패방지에 대한 노력 책임있는 정치참여활동 공정경쟁 사회적 책임 촉진 재산권존중 |
소비자 이슈 |
---|
공정마케팅 소비자 보건 및 안전 보호 지속가능한 소비권장 소비자 서비스, 지원 및 불만분쟁해결 소비자 데이터와 프라이버시 보호 필수서비스에 대한 접근보장 소비자 교육 |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 |
---|
지역사회발전 참여 지역사회 교육과 문화발전에 기여 고용창출 기회의 극대화 기술개발과 접근성 지역사회와 부와 소득 창출 지역 보건증진 지역사회 사회적투자 |
KSI 모델의 특징
첫째, KSI는 지수의 산정이 소비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조사에 바탕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 집단의 인식에 바탕한 지수라는 점은 여타의 지수들과 차별되는 특징이며, 단순 공시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여타의 지수들이 포착하지 못하는 관계자의 실질적 의견을 반영한 지표입니다.
둘째, KSI의 조사 내용이 ISO 26000에서 제시된 조직의 사회적 책임 7대 핵심주제를 기반으로 두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서 KSI는 국제기준이 요구하는 사회적 책임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으며 ISO 26000의 보급 및 확산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KSI 기대효과
첫째, ISO 26000에 대한 준수가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기업의 필수 요소로 작용할 시 KSI 우수기업은 이에 대한 대외적 이미지 향상과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소비자, 임직원, 협력업체, NGO 등)에 대한 조사 및 피드백을 통해 기업은 동반성장을 위해 나아갈 방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셋째, 21세기의 기업은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재무적, 경제적 성과뿐 아니라 환경, 사회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 입니다. 기업은 KSI를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확보를 위한 기업의 핵심 지속가능성 트렌드(Sustainability Trend) 및 관리 개선해야 할 지속가능성 영향(Sustainability Impact)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수기업의 사례를 널리 공표함으로써 타 기업에 벤치마킹 기회를 제공하고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사회책임경영(CSR)의 수준을 한단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질 것입니다.